보도자료


작성자 a**** 시간 2024-02-15 17:58:54 조회수 462
네이버

지구의 벗 전북환경운동연합http://jeonbuk.kfem.or.kr

()55038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2길 25-23 Tel. 063-286-7977,Fax.0303-0287-6637

 

보 도 자 료

 

 

 

기후위기를 알리는 기린봉 두꺼비의 때 이른 산란

아중저수지 명소화 사업과 수변 도로 확장으로

로드킬 위험이 더 커진 두꺼비를

차량 우회와 서행으로 지켜 주세요.

 

 

-전북환경운동연합로드킬 방지 현수막 걸고 시민 협조 당부산란장을 오가는 시기 구조 활동 진행 예정.

-실시 설계 중인 아중저수지 수변도로 확장 계획에 안정적인 생태이동통로 설치 반영해야.

-아중저수지 명소화 사업 추진 이전에 두꺼비 집단 산란장이자 멸종위기종인 수달이 사는 저수지 생물상 조사부터 실시하고 생태계 보호 대책 수립해야.

 

 

아중저수지 인근 기린봉 두꺼비의 산란 시기가 전년과 비해 20일가량 빨라졌다한낮 온도가 섭씨 19도를 기록한 14아중저수지 생태공원과 무릉마을 소류지에 짝을 구해 산란하려는 두꺼비들이 모습을 나타냈다.

 

 

지난해 대규모 로드킬이 발생했던 3월 5일과 3월 6일의 최고 기온이 16.7(평균 8.4)와 17.8(평균 9.2)보다 더 높았다강수량은 0.2mm로 적었지만온도가 오르고 습도가 높다 보니 대거 겨울잠에서 깨어난 것으로 보인다기린봉 두꺼비들이 집단으로 모여 필사적인 짝짓기 전쟁을 하는 곳은 무릉마을 입구에 자리한 1,200의 무릉제이다기린봉 산자락과 붙어 있어 위험천만한 도로를 건너지 않고도 안전하게 오갈 수 있기 때문이다.

 

 

 

image01_9.png
그림1. 2월 14일 최고 기온이 19도로 지난해 3월 5일 산란 이동 기간보다 기온이 높았음.

출처)기상자료 개방 포털

 

 

 

반면도로를 건너야 하는 생태습지 정원으로 두꺼비 이동은 이제 시작이다도로 위 차량 압사(로드킬-Road Kill) 개체 수도 20마리 남짓이다하지만본격적인 이동이 시작되면 다시 또 대규모 로드킬이 발생할 것이다전북환경운동연합은 작년 3이 구간에서 무려 300여 마리의 성체 두꺼비 사체를 확인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15두꺼비 로드킬을 방지하기 위해 4개소에 시민 협조를 구하는  현수막을 걸고산란장과 기린봉을 오가는 2월과(성체) 5(새끼구조 활동을 진행한다느릿느릿 도로를 건너거나 수로에 고립된 두꺼비를 회원과 함께 옮겨줄 예정이다지난해 공동 구조 활동을 진행한 전주시는 도로 개선 사업을 통해 두꺼비 생태통로 기능을 겸한 빗물 관로를 묻었다.

 

 

두꺼비 구조 활동에 나선 문지현 사무처장은 근본적인 대책으로는 부족하지만두꺼비 보호의 의지를 실천으로 보여줬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일이다라면서도 실시 설계 중인 수변 도로 확충 사업에 국립생태원 등 전문가와 협의를 통해 실효성 있는 생태통로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로드킬 피해만 줄인다면 도심 인근최대 두꺼비 서식지가 될 것이고기린봉 숲의 생물다양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양서류의 때 이른 산란은 두꺼비만이 아니다전주 도심과 가까운 흑석골 도롱뇽도 1월 12일경 알을 낳았다전년과 비교해 일주일가량 빠르다.

 

전주권 양서류 산란 시기를 조사해 온 이정현 공동대표는 겨울잠은 자는 동물은 기온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라면서 양서류의 때 이른 산란은 기후위기의 위험성을 우리에게 알리는 잠수함 속 토끼와 같은 존재로 봐야 한다.”라고 설명했다일찍 깨어나는 만큼 강추위를 견뎌야 하고 먹이를 구하기 어려워져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대표는 아중저수지 명소화 사업에 수변과 수면 거의 모든 구간에 산책 데크와 다리광장과 인공폭포 등 시민 편의시설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따라서사업 추진 이전에 두꺼비 집단 산란장이자 멸종위기종인 수달이 사는 저수지 생물상 조사부터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이에 새로운 산란장이 된 생태습지 정원처럼 자연과 조화로운 공간 구성을 검토해 볼 것을 제안한다.

  

 

image02_5.png  image03_5.png
그림2. 두꺼비 로드킬 예방 현수막

 

 

  image04_3.png image05_3.png
  그림3. 산란처로 이동을 시작한 두꺼비 한쌍​    그림4. 로드킬 당한 두꺼비

                                                         (약 30cm길이의 성체) 

 

 

image06_2.png
그림5. 아중호수길 도로 확장계획있는 아중호수 관광명소화 사업 조감도.

 

image07.png
그림 6. 아중저수지 두꺼비 주요 로드킬 구간 및 주요 산란처​​ 

 

 

 

 

 

2024년 2월 15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유영진 유남희 정현숙 이정현

<문의 문지현 사무처장 010-9192-1029, 이정현 공동대표 010-3689-4342>

 

 

 

 

 

 

301 Moved Permanently

301 Moved Permanently


nginx
ufabet สล็อต ทดลองเล่นสล็อต สล็อต สล็อต สล็อต สล็อต สล็อต สล็อต สล็อตเว็บตรง สล็อต สล็อ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