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소식입니다.
아래 카테고리를 누르시면 항목별로 활동 내용을 따로따로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5월 29일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삼천 마전교 하류방향 징검다리에서 삼천 준설 전후 어류상 조사 결과 발표 및 3차 조사현장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직접 준설을 완료한 삼천에 가슴장화를 신고 들어가 "이곳에 우리가 살고있다, 삽질을 멈춰라!" 현수막을 펼치고 수중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그 많던 토종 물고기는 다 어디로 갔을까? 모래톱 준설과 버드나무 벌목, 갈대와 달뿌리풀 제거 등 대규모 하천 정비사업이 진행된 삼천의 물고기 종수가 크게 줄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모래톱 준설과 벌목이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준설 직전인 23년 10월 6일, 삼천 마전교 일대에서, 전주생태하천협의회는 24년 4월 6일과 2024년 5월 2일 2차례에 걸쳐 삼천 4개 지점에서 어류상 조사를 했다. 결과는 매우 충격적이었다.
주요 도심 준설 구간인 우림교와 마전교 구간은 4월 6일 1차 조사에서 각각 2종, 4종만 확인되었다. 한 달이 지난 5월 2차 조사에서도 두 곳 모두 3종에 불과했다. 대부분 환경 적응력이 높은 종인 피라미나 모래무지 정도만 살고 있었다. 움직임이 가장 활발하고 여러 종류의 물고기가 관찰되는 산란기 5월에도 종수가 증가하지 않았다.
2023년 상반기에 준설이 진행된 도심 중류 우림교 구간은 2019년 13종에 비해 2024년 3종으로 물고기 종수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 특히, 2023년 10월 6일, 전북환경운동연합 어류상 조사에서 18종의 물고기 서식이 확인될 정도로 안정적인 하상 생태계를 유지해 온 마전교 일대는 준설 직후인 올 4월과 5월 조사에서 4종으로 크게 줄었다. 하나의 작은 서식지 생태계가 완전하게 붕괴한 것이다. 참마자, 긴몰개, 참몰개, 참종개, 동사리, 밀어 등 고유종이자 저서성, 여울형 물고기는 단 1종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모래톱과 호안 준설이 하천 밑바닥에 서식하는 물고기와 수서곤충 등 물속 생물의 서식지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준설이나 벌목 등 하상에 영향을 주는 공사를 하지 않은 삼천교 지점에서 20종, 우림교 준설의 영향을 일부 받은 세내교 지점은 13종이 확인되었다. 특히 삼천교 지점은 2019년 상반기 조사에서 확인된 종과 비교해 9종이 더 늘었다. 준설하지 않은 상류 쪽의 서식 종수가 늘었다는 것은, 삼천 상류 하상이 안정화되었고, 준설 구간의 물고기가 일부 피난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류 구간 수생·수변 생태계가 잘 유지되면, 준설로 사라진 중하류에 모래톱과 식생 복원 정도와 하상 안정화에 따라 상류의 어류가 하류로 이동해서 어느 정도 종 수가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원로 어류학자인 김익수 박사는 “상류 수생태계의 다양성이 잘 유지되어야 중하류 준설 구간의 생태 복원이 가능하다”라면서 “하상과 호안은 최대한 손대지 않고 자연하천으로 관리하는 것이 삼천 수생태계 복원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물고기가 많아야 물도 맑아진다면서 물고기가 잘살 수 있는 하천이 시민에게 가져다주는 생태계 서비스가 크다”고 덧붙였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이정현 공동대표는 “맨눈에도 보이던 밀어나 동사리, 모래무지 같은 저서성 어류가 싹 사라진 것은 대규모 준설이 물고기와 수서곤충의 서식 환경을 크게 훼손한다”라면서 “물속 생물의 작은 서식지를 훼손하는 모래톱과 호안 준설 대신 제방 보축이나 낙차공과 보 같은 횡단 구조물을 철거해 홍수 단면적을 확보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하도 내 공사가 불가피할 경우 어류와 수서곤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하도 관리 지침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전주시는 2023년부터 현재까지 삼천과 전주천 11개 구간 159,611㎡에서 재해 예방 하도 정비사업으로 모래톱과 퇴적토를 준설 했다. 삼천은 마전교~전주천 합류점 55,398㎡, 효자교∼마전교 25,260㎡, 이동교 5,948㎡ 등 6개 지점에서 1년 반 가까이 도심 전 구간에서 쉼 없이 대규모 준설을 추진했다.